카테고리 없음

신경발달접근: Rood 접근법

예하_ 2025. 4. 22. 20:11

Rood 접근법(Rood Approach)은 Margaret Rood에 의해 개발된 신경 발달 치료 기법으로, 주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 기능 회복을 위해 사용됩니다. 감각 자극을 활용하여 근육의 긴장도를 조절하고, 적절한 운동 반응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핵심 원칙

1. 감각 자극은 운동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적절한 감각 자극은 특정 근육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음.



2. 발달 순서를 따른다.

인간의 운동 발달 순서(예: 안정 → 이동 → 무게지지 → 기능적 움직임)를 기반으로 치료가 진행됨.



3. 근긴장도(normal muscle tone)가 회복되어야 정상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4. 반복과 연습은 운동 학습에 중요하다.




---

치료 기법

Rood 접근법에서는 촉진(facilitation)과 억제(inhibition) 자극을 사용하여 근긴장도를 조절합니다.

1. 촉진기법 (근육 활성화)

가벼운 접촉 (light touch): 피부 표면을 가볍게 자극하여 반사적 움직임 유도

빠른 스트로킹: 피부를 빠르게 문질러 근수축 유도

타진(tapping): 근육 위를 두드려 수축 반응 촉진

빠른 신장 반응(quick stretch): 근육을 빠르게 신장시켜 수축 유도

고빈도 진동(vibration): 근복에 진동을 줘서 근활성 촉진

전정 자극: 빠른 움직임이나 회전 자극


2. 억제기법 (근육 이완)

지압(deep pressure): 근육이나 관절에 깊은 압박을 가해 긴장 완화

온열 자극: 따뜻한 수건이나 패드로 이완 유도

부드러운 스트로킹(slow stroking): 피부를 천천히 쓰다듬어 안정감 제공

느린 움직임(slow, rhythmic rocking): 전정 자극으로 안정성 향상



---

적용 예시

뇌성마비(CP) 환자의 경직 감소 및 자세 조절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근육 활성화

외상성 뇌손상(TBI) 환자의 운동 조절 및 기능적 움직임 회복



---

장점과 한계

장점: 간단한 도구로 접근 가능하며, 신체 전반에 걸쳐 적용 가능

한계: 감각 자극의 효과가 일시적일 수 있으며, 근본적인 기능 회복엔 한계가 있음. 다른 치료 접근법과 병행할 때 효과적임





---



다른 신경발달접근과 비교



Rood: 감각 자극 중심, 근긴장도 조절 → 즉각적 반응 유도에 강함

Brunnstrom: 병적 움직임도 치료에 활용, 뇌졸중 회복 단계별 적용

PNF: 고유수용성 감각 자극 + 패턴 운동, 기능적 움직임에 초점 → 스포츠 재활에서도 많이 씀

NDT: 비정상 자세/움직임 억제, 정상 움직임 패턴 유도와 학습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