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뇌졸중 환자에게 작업치료사가 해야하는 역할

예하_ 2025. 4. 20. 12:35

뇌졸중(腦卒中, Stroke)은 갑작스럽게 뇌혈관에 문제가 생겨 뇌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거나, 출혈이 발생하면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쉽게 말해, 뇌에 피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서 생기는 응급 상황입니다.


---

뇌졸중의 종류

1. 허혈성 뇌졸중 (뇌경색)

뇌혈관이 혈전(피떡)이나 동맥경화로 막혀서 생깁니다.

전체 뇌졸중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2. 출혈성 뇌졸중 (뇌출혈)

뇌혈관이 터져서 뇌 속에 피가 고이거나 출혈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주로 고혈압이 오래되었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주요 증상

한쪽 얼굴, 팔, 다리의 마비나 저림

말이 어눌해지거나 말이 잘 안 나옴

시야장애 또는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

어지럼증, 균형 잡기 어려움

갑작스러운 두통 (특히 뇌출혈의 경우)



---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뇌졸중은 시간이 생명인 질환입니다. 손상된 뇌세포는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증상이 생기면 즉시 119에 연락해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이러한 뇌졸중 환자에게 작업치료사가 해야 하는 역할

작업치료사는 뇌졸중 환자분의 일상생활 복귀와 기능 회복을 돕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기능 평가

운동 기능, 인지 능력, 감각, 시지각,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 등을 평가합니다.

환자분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

2. 일상생활 훈련 (ADL Training)

세수, 옷 입기, 식사, 화장실 사용 등 기본적인 자기 관리 활동을 훈련합니다.

필요 시 보조기기나 도구 사용 방법도 함께 지도합니다.



---

3. 상지 기능 회복 훈련

마비된 팔과 손의 움직임을 회복하기 위한 운동과 과제 중심 활동을 진행합니다.

손 기능 향상을 위해 감각 자극, 소근육 운동, 기능적 활동 등을 적용합니다.



---

4. 인지 및 시지각 재활

집중력, 기억력, 문제 해결 능력 등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을 진행합니다.

시공간 인식, 시각 주의력 등 시지각 기능도 함께 재활합니다.



---

5. 가정 및 사회 복귀 준비

집안 환경을 보다 안전하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조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직장 복귀나 취미 활동, 지역사회 참여 등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드립니다.



---

6. 심리적 지원

뇌졸중 이후 우울감이나 좌절감을 느끼는 환자분들께 정서적 지지와 동기를 제공합니다.



---

7. 보호자 교육

보호자분께 환자분을 돌보는 방법, 주의할 점 등에 대해 교육하고 상담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