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작업치료 캡스톤디자인

예하_ 2025. 4. 17. 00:26

작업치료 캡스톤 디자인이란?

작업치료 캡스톤 디자인은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이 졸업 전 마지막 학기에 수행하는 종합적인 실무 프로젝트로, 학문적으로 배운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이나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팀을 이루어 1~2학기에 걸쳐 진행되며, 문제 정의부터 설계, 제작, 실험, 평가, 발표까지 전 과정을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수행하게 됩니다.




---

진행 과정 (단계별 설명)

1. 문제 선정 및 정의

작업치료 대상자(예: 환자, 아동, 노인)나 임상 환경, 지역사회 등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을 탐색하고, 해결할 주제를 설정합니다.

예시:

“뇌졸중 환자들이 병원 퇴원 후 집에서는 왜 재활운동을 지속하지 못할까?”

“감각통합치료가 필요한 아동들을 위한 적절한 교구가 부족하지 않을까?”



2. 문헌조사 및 현장 조사

관련된 연구 논문이나 자료를 조사하고,

환자, 보호자, 치료사, 관련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 또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문제의 원인을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3. 아이디어 구상 및 설계

팀원들과 함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그중에서 실제 적용 가능성이 높은 아이디어를 선택하여 구체적으로 설계합니다.

예시: 감각자극을 유도하는 놀이교구,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보드게임, 집에서 활용 가능한 재활 키트 등


4. 프로토타입 제작

설계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시제품을 직접 제작합니다.

기술이 필요한 경우 IT 장비(앱, 센서 등)와 연동되는 형태로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예시:

손재활용 저비용 센서 장갑

인지훈련 기능이 포함된 모바일 게임

촉각과 시각을 자극하는 고령자용 치료 교구



5. 적용 및 피드백

실제 사용자(환자, 치료사 등)에게 적용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을 분석합니다.

지도 교수님 또는 외부 전문가에게 피드백을 받아 보완합니다.


6. 최종 발표 및 보고서 작성

프로젝트 결과물을 포스터, 전시, 구두 발표 등의 형식으로 공유하며,

최종 보고서나 논문 형태로 정리하여 제출합니다.

경우에 따라 외부 학술대회에 출품하거나 논문 발표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





캡스톤 디자인의 의미

졸업 후 임상 현장에서는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정해진 방식대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도구와 방법을 선택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또한 다양한 분야(공학, 디자인, 정보기술 등)와 협업하는 경험은 향후 다학제적 환경에 적응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