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통합과 관련된 작업치료 검사도구는 감각 처리, 운동 협응, 실행 기능(프락시스) 등을 평가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 감각 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 시리즈
(1) 개요
감각 프로파일은 사람들이 감각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하는지를 평가하는 설문 기반 검사입니다. 감각 과민, 감각 둔감, 감각 회피, 감각 탐색 성향 등을 분석하여 감각 처리 유형을 파악합니다.
(2) 평가 대상 및 종류
(3) 평가 영역
감각 등록(Sensory Registration): 감각 자극을 인식하는 정도
감각 민감성(Sensory Sensitivity): 작은 자극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는 정도
감각 회피(Sensory Avoidance): 감각 자극을 피하려는 성향
감각 탐색(Sensory Seeking): 강한 감각 자극을 즐기거나 적극적으로 찾는 성향
(4) 활용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감각통합 장애 아동의 감각 반응 유형 분석
치료 계획 수립 시 감각 조절 전략 제안
---
2. 감각 통합 및 프락시스 검사(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SIPT)
(1) 개요
SIPT는 감각 정보 처리와 실행 기능(프락시스) 문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표준화된 검사로, 특히 감각통합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대상
4~8세 아동
감각운동 발달 문제, 실행 기능 장애(프락시스 장애), 학습 장애 등이 의심되는 경우
(3) 평가 항목(17개 하위 검사)
1. 촉각 차별(Tactile Discrimination)
손끝으로 사물의 형태를 구별하는 능력
촉각 방어 여부 평가
2.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
신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능력
3. 전정계 기능 평가(Vestibular Function Tests)
균형 감각과 몸의 조절 능력 평가
4. 양측 협응 및 실행(Bilateral Integration and Praxis)
양손을 함께 사용하는 능력
5. 시각-운동 협응(Visual-Motor Coordination)
눈과 손의 협응 능력 평가
(4) 활용
감각통합 장애, 실행 기능 장애(프락시스 장애) 진단
치료 계획 수립 및 감각 자극 훈련 프로그램 개발
---
3. 브루인스-오제레츠키 운동능력 검사(BOT-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1) 개요
BOT-2는 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 능력을 평가하여 운동 협응 문제를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2) 대상
4세~21세 소아 및 청소년
운동 협응 장애(DCD), 발달성 협응 장애(Dyspraxia) 등이 의심되는 경우
(3) 평가 항목
대근육 운동(Gross Motor)
균형 유지
몸의 민첩성
신체 조절 능력
소근육 운동(Fine Motor)
손 조작 능력
시각-운동 통합
(4) 활용
학습 장애, 운동 협응 장애(DCD) 진단
운동 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 계획 수립
---
4. 페아바디 운동 발달 척도(PDMS-2,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2)
(1) 개요
PDMS-2는 유아 및 아동의 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 발달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2) 대상
0~6세 유아 및 아동
발달 지연, 운동 협응 문제 평가 필요 시
(3) 평가 항목
반사 반응(Reflexes)
대근육 운동(Gross Motor)
기기, 걷기, 점프 등
소근육 운동(Fine Motor)
손가락 사용, 물건 잡기
(4) 활용
영유아 발달 평가
감각통합 장애 및 운동 발달 지연 진단
---
5. 던 감각 처리 검사(Dunn’s Sensory Processing Measure, SPM)
(1) 개요
SPM은 아동이 다양한 환경(집, 학교)에서 감각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2) 대상
5~12세 아동
감각통합 문제로 인해 학교 및 가정생활 적응이 어려운 경우
(3) 평가 항목
감각 조절(Sensory Modulation)
감각 탐색 및 회피(Sensory Seeking/Avoidance)
사회 참여(Social Participation)
(4) 활용
감각통합 치료 계획 수립
학교 및 가정에서의 감각 환경 조절 방안 마련
---
6. 감각처리능력척도(Sensory Processing Measure-Preschool, SPM-P)
(1) 개요
SPM-P는 영유아의 감각 처리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2) 대상
2~5세 유아
(3) 평가 항목
감각 반응 유형(과민, 둔감 등)
감각 조절 능력
환경 적응 능력
(4) 활용
조기 감각통합 문제 진단
유아기 감각 발달 지원 프로그램 개발
---
7. 비헤비어 감각 검사(Behavioral Assessment of Dysexecutive Syndrome, BADS)
(1) 개요
BADS는 감각 통합과 관련된 인지적 실행 기능(Frontal Lobe Function)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2) 대상
청소년 및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뇌손상, 치매 환자
(3) 평가 항목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문제 해결 능력(Problem Solving)
감각 정보 조절 및 반응 조절
(4) 활용
성인의 감각 및 실행 기능 장애 평가
치료 계획 수립 및 환경 조절 전략 마련
---
이처럼 감각통합과 관련된 작업치료 검사도구들은 대상자의 연령과 평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필요한 경우 작업치료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